기타

NHK 연속TV소설 출연 역대 일본 아카데미상(日本アカデミー賞) 남녀주연상 조연상 수상작 출연

새미남친 2019. 5. 4. 17:30

1964년 소용돌이 파도 (うず潮): 츠가와 마사요코(11회 일본 아카데미상 남우조연상/마루사의 여자)

1966년 오하나항(おはなはん): 오타키 히데지(36회 일본 아카데미상 남우조연상/당신에게), 츠가와 마사요코(11회 일본 아카데미상 남우조연상/마루사의 여자), 오가와 마유미(3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조연상/복수는 나의것(復讐するは我にあり))

1970년 무지개(): 코야나기 루미코(6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조연상 납치 보도(誘拐報道), 7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주연상/흰뱀(白蛇抄))

1971년 전반 ~ 1972년 전반 마유코 혼자 (繭子ひとり): 키타바야시 타니에(15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주연상/대유괴(大誘拐/rainbow kids), 26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조연상/아미다도 소식(阿弥陀堂だより))

1973년 북녘의 가족(北の家族): 니시다 토시유키(12회 일본 아카데미상 남우주연상/둔황, 17회 일본 아카데미상 남우주연상/학교/낚시 바보 일지 6)

1975년 전기 물빛의 시간(水色の時): 하라다 미에코(10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조연상/불타는 집의 사람/프러시안 블루의 초상/국사무쌍, 22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주연상/사랑을 바라는 사람, 24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조연상/비 그친 후), 카가와 쿄코(17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조연상/마다다요), 오타키 히데지(36회 일본 아카데미상 남우조연상/당신에게), 오타케 시노부(2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주연상/사건, 2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조연상 성직자의 비(聖職の碑), 23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주연상/철도원)

1976년 전반 구름의 융단(雲のじゅうたん)카자마 모리오(6회 일본 아카데미상 남우조연상/카마타 행진곡, 제7회 일본 아카데미상 남우조연상/게이샤(陽暉楼)/인생극장(人生劇場))

1977년 전반 가장 빛나는 별(いちばん星): 츠가와 마사히코(11회 일본 아카데미상 남우조연상/마루사의 여자(マルサの女))

1978년 전반 오테이짱(おていちゃん)카자마 모리오(6회 일본 아카데미상 남우조연상/카마타 행진곡, 7회 일본 아카데미상 남우조연상/게이샤(陽暉楼)/인생극장(人生劇場))

1978년 후기 나는 바다(わたしは海): 

1979년 전반 마네짱(マー姉ちゃん): 다나카 유코(5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조연상/호쿠사이 만화(北斎漫画)/에에쟈 나이카(ええじゃないか))

1980년 전기 낫짱의 사진관(なっちゃんの写真館): 야쿠쇼 코지(20회 일본 아카데미상 남우주연상/쉘 위 댄스(Shall we ダンス?), 21회 일본 아카데미상 남우주연상/우나기, 41회 일본 아카데미상 남우조연상/세번째 살인(三度目の殺人), 42회 일본 아카데미상 남우주연상/고독한 늑대의 피(孤狼の血))

1981년 전반 풍작의 꽃(まんさくの花): 바이쇼 치에코(4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주연상/아득한 산너머에서 부르는 소리/남자는 괴로워 : 하이비스카스편)

1981년 후반 오늘도 맑은 날(本日も晴天なり): 미야모토 노부코(11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주연상/마루사의 여자(マルサの女))

1983년 오싱(おしん): 오토와 노부코(19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조연상/오후의 유언장와타나베 에리(20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조연상/쉘 위 댄스), 와타세 츠네히코(2회 일본 아카데미상 남우조연상/사건(事件)), 다나카 요시코(13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주연상/검은 비(黒い雨)), 다나카 유코(5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조연상/호쿠사이 만화(北斎漫画)/에에쟈 나이카(ええじゃないか))

1984년 후기 마음은 언제나 레몬빛(心はいつもラムネ色): 키시베 잇토쿠(14회 일본 아카데미상 남우주연상/죽음의 가시(死の棘)), 다나카 요시코(13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주연상/검은 비(黒い雨))

1985년 전반 미오츠쿠시(澪つくし): 츠가와 마사히코(11회 일본 아카데미상 남우조연상/마루사의 여자), 타카시나 카쿠(8회 일본 아카데미상 남우조연상/마작방랑기)

1985년 후반 마음은 언제나 레몬빛(心はいつもラムネ色): 다나카 요시코(13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주연상/검은 비(黒い雨))

1986년 전반 하네코마(はね駒): 와타나베 켄(30회 일본 아카데미상 남우주연상/내일의 기억(明日の記憶), 33회 일본 아카데미상 남우주연상/지지않는 태양(沈まぬ太陽)), 키키 키린(31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주연상/오다기리 조의 도쿄타워(東京タワー 〜オカンとボクと、時々、オトン〜), 34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조연상/악인(悪人), 36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주연상/내 어머니의 연대기, 42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조연상/어느 가족(万引き家族))

1986년 후반 교토의 바람(都の風): 쿠로키 히토미(21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주연상/실락원(失樂園))

1987년 전반 촛짱(チョッちゃん): 야쿠쇼 코지(20회 일본 아카데미상 남우주연상/쉘 위 댄스, 21회 일본 아카데미상 남우주연상/우나기, 41회 일본 아카데미상 남우조연상/세번째 살인(三度目の殺人), 42회 일본 아카데미상 남우주연상/고독한 늑대의 피(孤狼の血)), 니시다 토시유키(12회 일본 아카데미상 남우주연상/둔황, 17회 일본 아카데미상 남우주연상/학교/낚시 바보 일지 6), 카타오카 츠루타로(12회 일본 아카데미상 남우조연상/이방인들의 여름/요녀의 시대)

1987년 후반 핫사이 선생(はっさい先生): 키시베 잇토쿠(14회 일본 아카데미상 남우주연상/죽음의 가시(死の棘))

1989년 전반 청춘가족(青春家族): 이시다 아유미(10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주연상/불 타는 집의 사람/시계 Adieu l'Hiver), 타카시나 카쿠(8회 일본 아카데미상 남우조연상/마작방랑기), 무로이 시게루(18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조연상/선집 유령)

1991년 너의 이름은(君の名は): 스즈키 쿄카(28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주연상/피와 뼈(血と骨)), 키키 키린(31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주연상/오다기리 조의 도쿄타워(東京タワー 〜オカンとボクと、時々、オトン〜), 34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조연상/악인(悪人), 36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주연상/내 어머니의 연대기, 42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조연상/어느 가족(万引き家族)), 이시다 아유미(10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주연상/불 타는 집의 사람/시계 Adieu l'Hiver), 타카시나 카쿠(8회 일본 아카데미상 남우조연상/마작방랑기), 히라타 미츠루(6회 일본 아카데미상 남우주연상/카마타 행진곡), 다나카 요시코(13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주연상/검은 비(黒い雨))

1992년 전반 여자는 배짱(おんなは度胸): 가와 테루유키(33회 일본 아카데미상 남우조연상/츠루기다케 점의 기록(劔岳 点の記))

1992년 후반 히라리(ひらり):

1993년 후반 카린(かりん): 모타이 마사코(31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조연상/그래도 내가 하지 않았어), 사사노 타카시(30회 일본 아카데미상 남우조연상/무사의 체통)

1994년 후반 ~1995년 후반 봄 이여, 오라!(春よ、来い): 바이쇼 미츠코(9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주연상/연예 편지(恋文), 친구여 조용히 잠들라 , 21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조연상/우나기), 카타오카 츠루타로(12회 일본 아카데미상 남우조연상/이방인들의 여름/요녀의 시대), 이시다 아유미(10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주연상/불 타는 집의 사람/시계 Adieu l'Hiver)

1995년 후반 달려!(走らんか!): 탐바 데츠로(4회 일본 아카데미상 남우조연상/203고지), 무로이 시게루(18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조연상/선집 유령), 다나카 요시코(13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주연상/검은 비(黒い雨))

1996년 전반 해바라기(ひまわり): 아사노 유코(19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주연상/소장())

1996년 후반 두 아이(ふたり子): 카가와 쿄코(17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조연상/마다다요), 나카무라 카츠오(5회 일본 아카데미상 남우조연상/아지랑이 좌/마지막 연가(ラブレター)/부괘인 매안(仕掛人梅安)/양철 훈장(ブリキの勲章)), 키시베 잇토쿠(14회 일본 아카데미상 남우주연상/죽음의 가시(死の棘))

1997년 후반 아마카라샹(甘辛しゃん): 히토시 우에키(10회 일본 아카데미상 남우조연상/기쁨도 슬픔도 몇세월), 카자마 모리오(6회 일본 아카데미상 남우조연상/카마타 행진곡, 7회 일본 아카데미상 남우조연상/게이샤(陽暉楼)/인생극장(人生劇場))

1998년 전반 텐우라라/오늘 화창한(天うらら)와타나베 에리(20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조연상/쉘 위 댄스(Shall we ダンス?)), 모타이 마사코(31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조연상/그래도 내가 하지 않았어), 코바야시 카오루(9회 일본 아카데미상 남우조연상/연애 편지(恋文)/그때 부터(それから), 31회 일본 아카데미상 남우조연상/오다기리 조의 도쿄타워(東京タワー 〜オカンとボクと、時々、オトン〜))

1998년 후반 얀차쿠레(やんちゃくれ): 에모토 아키라(22회 일본 아카데미상 남우주연상/간장선생(カンゾー先生), 34회 일본 아카데미상 남우조연상/악인(悪人))

1999년 전반 은방울꽃/스즈란(すずらん): 바이쇼 치에코(4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주연상/아득한 산너머에서 부르는 소리/남자는 괴로워 : 하이비스카스편), 바이쇼 미츠코(9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주연상/연예 편지(恋文), 친구여 조용히 잠들라 , 21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조연상/우나기)

2000년 전반 나의 푸른 하늘(私の青空): 스가이 킨(8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조연상/장례식/필살! THE HISSATSU)

2000년 후반 오드리(オードリー): 오타케 시노부(2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주연상/사건, 2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조연상 성직자의 비(聖職の碑), 23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주연상/철도원)

2001년 전반 추라상(ちゅらさん): 요 키미코(32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조연상/굿바이(おくりびと), 33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조연상/우리 의사 선생님(ディア・ドクター), 36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조연상/당신에게(あなたへ)), 다나카 요시코(13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주연상/검은 비(黒い雨))

2002년 전반 사쿠라(さくら): 나가사와 마사미(28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조연상/세상의 중심에서 사랑을 외치다(世界の中心で、愛をさけぶ)), 사사노 타카시(30회 일본 아카데미상 남우조연상/무사의 체통(武士の一分)), 오타키 히데지(36회 일본 아카데미상 남우조연상/당신에게)

2002년 후반 만점/만텐(まんてん): 미야모토 노부코(11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주연상/마루사의 여자(マルサの女)), 아사노 아츠코(7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조연상/게이샤(陽暉楼)/더러운 영웅(汚れた英雄))

2003년 전반 코코로/마음(こころ): 코야나기 루미코(6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조연상 납치 보도(誘拐報道), 7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주연상/흰뱀(白蛇抄)), 테라오 아키라(24회 일본 아카데미상 남우주연상/비 그친 후, 28회 일본 아카데미상 남우주연상/사라진 이틀), 키시 케이코(25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주연상/엄마(かあちゃん))

2003년 후반 테루테루 가족(てるてる家族)이시다 아유미(10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주연상/불 타는 집의 사람/시계 Adieu l'Hiver), 아사노 유코(19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주연상/소장()), 덴덴(35회 일본 아카데미상 남우조연상/차가운 열대어)

2004년 전반 텐카(天花): 타케나카 나오토(16회 일본 아카데미상 남우조연상/으랏차차 스모부(シコふんじゃった。), 19회 일본 아카데미상 남우조연상/이스트 미츠 웨스트(EAST MEETS WEST/イースト・ミーツ・ウエスト), 20회 일본 아카미상 남우조연상/쉘 위 댄스(Shall we ダンス?)), 가와 테루유키(33회 일본 아카데미상 남우조연상/츠루기다케 점의 기록)

2004년 후반 와카바(わかば): 다나카 유코(5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조연상/호쿠사이 만화(北斎漫画)/에에쟈 나이카(ええじゃないか))

2005년 전반 파이트(ファイト): 스가이 킨(8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조연상/장례식/필살! THE HISSATSU)

2006년 전반 순정 반짝(純情きらり): 무로이 시게루(18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조연상/선집 유령), 테라지마 시노부(27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주연상/아카메 48폭포 자살미수(赤目四十八瀧心中未遂)히라타 미츠루(6회 일본 아카데미상 남우주연상/카마타 행진곡), 와카야마 토미사부로(3회 일본 아카데미상 남우주연상/충동살인 무스코(衝動殺人 息子よ)), 키무라 타에(32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주연상/나를 둘러싼 것들(ぐるりのこと。)),

2006년 후반 이모타코 난킨(芋たこなんきん): 카가와 쿄코(17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조연상/마다다요), 모타이 마사코(31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조연상/그래도 내가 하지 않았어), 이시바시 렌지(5회 일본 아카데미상 남우조연상/짐승들의 뜨거운 잠(獣たちの熱い眠り)/마성의 여름(魔性の夏), 14회 일본 아카데미상 남우조연상/공원길 고양이들(公園通りの猫たち), 우리 쏠 준비(われに撃つ用意あり)/낭인가(浪人街)), 이시다 아유미(10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주연상/불 타는 집의 사람/시계 Adieu l'Hiver), 히라타 미츠루(6회 일본 아카데미상 남우주연상/카마타 행진곡), 키시베 잇토쿠(14회 일본 아카데미상 남우주연상/죽음의 가시(死の棘))

2007년 전반 좋아 좋아/돈도 하레(どんど晴れ): 미야모토 노부코(11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주연상/마루사의 여자(マルサの女)), 덴덴(35회 일본 아카데미상 남우조연상/차가운 열대어(冷たい熱帯魚))

2007년 후반 치리토테친(ちりとてちん): 와타세 츠네히코(2회 일본 아카데미상 남우조연상/사건(事件)), 와쿠이 에미(15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조연상/아들(息子), 17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주연상/무지개 다리(虹の橋))

2008년 전반 히토미/눈동자(瞳): 사사노 타카시(30회 일본 아카데미상 남우조연상/무사의 체통), 스가이 킨(제8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조연상/장례식/필살! THE HISSATSU), 니시다 토시유키(12회 일본 아카데미상 남우주연상/둔황, 17회 일본 아카데미상 남우주연상/학교/낚시 바보 일지 6)

2008년 후반 단단(だんだん): 키시베 잇토쿠(14회 일본 아카데미상 남우주연상/죽음의 가시(死の棘))

2009년 전반 츠바사/날개(つばさ): 이시바시 렌지(5회 일본 아카데미상 남우조연상/짐승들의 뜨거운 잠(獣たちの熱い眠り)/마성의 여름(魔性の夏), 14회 일본 아카데미상 남우조연상/공원길 고양이들(公園通りの猫たち), 우리 쏠 준비(われに撃つ用意あり)/낭인가(浪人街))

2009년 후반 웰카메(ウェルかめ): 무로이 시게루(18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조연상/선집 유령)

2010년 전반 게게게 여보(ゲゲゲの女房): 카자마 모리오(제6회 일본 아카데미상 남우조연상/카마타 행진곡, 제7회 일본 아카데미상 남우조연상/게이샤(陽暉楼)/인생극장(人生劇場)), 마츠자카 케이코(5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주연상/청춘의 문(青春の門)/남자는 괴로워 나니와의 사랑의 토라지 로우(男はつらいよ 浪花の恋の寅次郎), 6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주연상/카마타 행진곡(蒲田行進曲)/도톤보리 강(道頓堀川), 14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주연상/죽음의 가시(死の棘))

2011년 전반 해님/오히사마(おひさま): 이노우에 마오(35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주연상/8일째 매미(八日目の蝉)), 안도 사쿠라(39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주연상/백엔의 사랑(百円の恋), 42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주연상/어느 가족(万引き家族)), 와타나베 에리(20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조연상/쉘 위 댄스(Shall we ダンス?))

2011년 후반 카네이션(カーネーション): 코바야시 카오루(9회 일본 아카데미상 남우조연상/연애 편지(恋文)/그때 부터(それから), 31회 일본 아카데미상 남우조연상/오다기리 조의 도쿄타워(東京タワー 〜オカンとボクと、時々、オトン〜))

2012년 전반 우메짱 선생(梅ちゃん先生): 마츠자카 토리(42회 일본 아카데미상 남우조연상/고독한 늑대의 피(孤狼の血)), 바이쇼 미츠코(9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주연상/연예 편지(恋文)/친구여 조용히 잠들라, 21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조연상/우나기(うなぎ)), 카타오카 츠루타로(12회 일본 아카데미상 남우조연상/이방인들의 여름/요녀의 시대)

2012년 후반 순수한 사랑(純と愛): 요 키미코(32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조연상/굿바이(おくりびと), 33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조연상/우리 의사 선생님(ディア・ドクター), 36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조연상/당신에게(あなたへ)), 쿠로키 하루(38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조연상/작은집, 39회 일본 아카데미상 여우조연상/어머니와 살면)

2013년 전반 아마짱(あまちゃん): 야쿠시마루 히로코(29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조연상/올웨이즈 3번가의 석양)와타나베 에리(20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조연상/쉘 위 댄스), 마츠타 류헤이(37회 일본 아카데미상 남우주연상/행복한 사전(舟を編む)), 덴덴(35회 일본 아카데미상 남우조연상/차가운 열대어(冷たい熱帯魚)), 미야모토 노부코(11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주연상/마루사의 여자(マルサの女))

2013년 후반 잘 먹었습니다(ごちそうさん): 스다 마사키(41회 일본 아카데미상 남우주연상/아 황야(あゝ、荒野))

2014년 전반 하나코와 앤(花子とアン): 쿠로키 하루(38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조연상/작은집, 39회 일본 아카데미상 여우조연상/어머니와 살면), 무로이 시게루(18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조연상/선집 유령), 이시바시 렌지(5회 일본 아카데미상 남우조연상/짐승들의 뜨거운 잠(獣たちの熱い眠り)/마성의 여름(魔性の夏), 14회 일본 아카데미상 남우조연상/공원길 고양이들(公園通りの猫たち), 우리 쏠 준비(われに撃つ用意あり)/낭인가(浪人街))

2014년 후반 맛상(マッサン): 카자마 모리오(6회 일본 아카데미상 남우조연상/카마타 행진곡, 7회 일본 아카데미상 남우조연상/게이샤(陽暉楼)/인생극장(人生劇場)), 나카무라 카츠오(5회 일본 아카데미상 남우조연상/아지랑이 좌/마지막 연가(ラブレター)/부괘인 매안(仕掛人梅安)/양철 훈장(ブリキの勲章)), 츠츠미 신이치(29회 일본 아카데미상 남우조연상/올웨이즈 3번가의 석양(ALWAYS 三丁目の夕日))

2015년 전반 마레(まれ): 다나카 유코(5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조연상/호쿠사이 만화(北斎漫画)/에에쟈 나이카(ええじゃないか)), 다나카 민(26회 일본아카데미상 남우조연상/황혼의 사무라이(たそがれ清兵衛))

2015년 후반 아침이 온다(あさが来た): 히라타 미츠루(6회 일본 아카데미상 남우주연상/카마타 행진곡), 테라지마 시노부(27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주연상/아카메 48폭포 자살미수(赤目四十八瀧心中未遂), 타케다 테츠야(1회 일본 아카데미상 남우조연상/행복의 노란 손수건(幸福の黄色いハンカチ)), 마츠자카 케이코(5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주연상/청춘의 문(青春の門)/남자는 괴로워 나니와의 사랑의 토라지 로우(男はつらいよ 浪花の恋の寅次郎), 6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주연상/카마타 행진곡(蒲田行進曲)/도톤보리 강(道頓堀川), 14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주연상/죽음의 가시(死の棘))

2016년 전반 아빠 언니(とと姉ちゃん): 스기사키 하나(40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조연상/행복 목욕탕(湯を沸かすほどの熱い愛)), 키무라 타에(32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주연상/나를 둘러싼 것들(ぐるりのこと。)), 카타오카 츠루타로(12회 일본 아카데미상 남우조연상/이방인들의 여름/요녀의 시대)

2017년 전반 병아리/히욧코(ひよっこ): 와쿠이 에미(15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조연상/아들(息子), 17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주연상/무지개 다리(虹の橋)), 미야모토 노부코(11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주연상/마루사의 여자(マルサの女))

2017년 후반 와로텐카(わろてんか): 마츠자카 토리(42회 일본 아카데미상 남우조연상/고독한 늑대의 피(孤狼の血)), 사사노 타카시(30회 일본 아카데미상 남우조연상/무사의 체통(武士の一分)), 스즈키 쿄카(28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주연상/피와 뼈(血と骨))

2018년전반 절반, 푸르다(半分、青い。): 요 키미코(32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조연상/굿바이(おくりびと), 33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조연상/우리 의사 선생님(ディア・ドクター), 36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조연상/당신에게(あなたへ))

2018년 후반 만복(まんぷく): 안도 사쿠라(39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주연상/백엔의 사랑(百円の恋), 42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주연상/어느 가족(万引き家族)), 스다 마사키(41회 일본 아카데미상 남우주연상/아 황야(あゝ、荒野)), 마츠자카 케이코(5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주연상/청춘의 문(青春の門)/남자는 괴로워 나니와의 사랑의 토라지 로우(男はつらいよ 浪花の恋の寅次郎), 6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주연상/카마타 행진곡(蒲田行進曲)/도톤보리 강(道頓堀川), 14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주연상/죽음의 가시(死の棘))

2019년 전반 여름하늘/나츠조라(なつぞら): 히로세 스즈(41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조연상/세번째 살인(三度目の殺人)), 릴리 프랭키(37회 일본 아카데미상 남우조연상/그렿게 아버지가 된다(そして父になる)), 다나카 유코(5회 일본 아카데미상 여우조연상/호쿠사이 만화(北斎漫画)/에에쟈 나이카(ええじゃないか)),